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선물 ETF 와 현물 ETF 정의와 차이점 총정리 !
    경제상식 2024. 1. 17. 12:12
    반응형

     

    안녕하세요 ~ 잭콩트리입니다. 

     

    ETF에 투자하다 보면 기초자산이 같은데도 선물 ETF, 현물 ETF 2종이

     

    모두 상장돼 있는 경우를 발견하게 되는데요.

     

    현물은 대충 어떤 의미인지 유추해 볼 수 있지만 선물은 어떤 의미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현물 ETF 와 선물 ETF의 정의부터 차이점까지 상세하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물과 현물은 무엇을 의미하나?

     

    💴 현물거래 : 현물은 현재의 상품이나 주식을 의미하며 '실물'이라고도 부릅니다. 현물거래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하는 거래를 뜻하며 돈을 지불하면 그에 상응하는 물건을 얻게 되는 형식입니다. 즉, 매매의 대상물이 실존하고 거래대금과 대상물이 동시에 교환되는 것을 뜻합니다.

     

    🎁 선물거래 : 선물은 향후 일정 시점의 가격을 미리 정해두고 거래하는 파생상품입니다. 선물 거래는 현물과 달리 미래의 특정 시점에 특정 물품이나 금융상품을 특정한 가격에 사거나 팔기로 약속하는 것을 뜻합니다. 

     

    선물과 현물의 차이점 

     

    🕐 투자 초점이 다릅니다. 

     

    현물거래는 거래 시점에 시장의 가치에 따라 즉시 거래를 하게 되지만, 선물거래는 즉시 거래가 일어난 것이 아니고 미래의 특정 시점에 특정 물품이나 금융상품을 특정한 가격에 사거나 팔기로 약속하기 때문에 미래의 시장 가치에 따라 이익을 볼 수도 있고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 선물거래는 물건 보관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현물거래는 원유, 구리 등 원자재를 거래할 경우 거래 즉시 물건을 얻게 되므로 물건을 보관하는데 비용이 들게 되지만, 선물거래는 물건을 즉시 얻는 것이 아니므로 보관하는데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따라서 원자재 투자를 할 경우에는 선물로 거래하면 용이합니다.

     

    💴 거래에 필요한 비용 차이

     

    현물거래는 거래 즉시 현금이 모두 나가지만, 선물거래는 계약 당시에는 증거금만 내면 되므로 현물거래보다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로부터 10억 원의 자금을 받아 현물에 투자하면 10억 원을 전부 투자해야 합니다. 하지만 선물 계약은 증거금 거래를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선물 거래금액 10억 원에 대해 1억 5,000만 원 정도의 증거금만 먼저 투자하고 나머지 여유 현금은 다른 국고채 등에 투자해 추가로 이자수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 

     

    반응형
    선물 가격이 결정되는 원리?

     

    선물은 일정 시점의 가격을 미리 정해두고 거래되는데, 이 때 가격은 만기가 있으며 현물 가격에 금리, 수요와 공급 등을 반영하여 결정을 하게 됩니다. 만일 투자자들이 앞으로의 현물 가격이 상승될 것으로 예상되면 선물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하락될 것으로 보이면 선물 가격도 낮게 형성됩니다. 미리 정한 가격으로 매매를 약속하기 때문에 만기 전 가격변동에 따른 위험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선물 가격은 보통 월 단위로 나오게 되는데, 보통 그 월을 따라서 월물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월물이 나올 때마다 선물 가격이 높아지는 가격은 콘탱코(Contango)라고 하며, 월물이 나올 때마다 선물 가격이 낮아지는 상황은 백워데이션(Backwardation)이라고 합니다. 

     

    선물 롤오버와 롤오버 효과 ?

     

    선물은 거래를 하기 전까지는 물건을 받지 않지만, 만기가 되는 순간 거래를 하므로 물건을 전달받아야 하는 상황이 옵니다. 물건을 받게 되면 보관비용이 추가로 들기 때문에 이 상황을 피하기 위해 만기가 다가오는 선물을 아직 만기가 남은 선물로 교체하는 롤오버를 사용하게 됩니다. 롤오버는 만기 전에 언제나 가능하지만, 만기가 가까워질수록 시장 유동성이 부족해질 수 있기 때문에 만기가 되는 종목의 거래량을 자세히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롤오버를 할 때는 시장상황에 따라 비용이 들수도 있고, 반대로 수익을 볼 수도 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선물 가격이 높게 평가되어지는 콘탱고 상황에서는 롤오버를 하면 같은 가격으로 적은 양을 계약하기 떄문에 이때 롤오버 비용이 발생된다는 표현을 쓰게 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선물 가격이 낮게 평가되어지는 백워데이션인 상황에서는 롤오버를 할때 같은 가격으로 더 많은 양을 계약하기 때문에 롤오버 수익이 발생된다는 표현을 쓰게 됩니다. 

     

    롤오버 방식에도 차이가 있는데 현재 월과 가까운 월물로 롤오버 하는 것을 근월물 롤오버 방식이며, 현재 월과 먼 월물로 롤오버 하는 것을 원월물 롤오버 방식이라고 합니다. 둘 다 특정 대상에 투자하는 효과를 보지만 근월물이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현물의 가치와 가깝고, 원월물이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미래 전망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선물 지수 종류

     

    선물 지수는 지수에 롤오버 효과와 채권 수익을 반영하는지 여부에 따라 아래와 같이 몇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  Spot Return(SR)   : 선물계약으로 구성된 지수

     Excess Return(ER) : 선물계약으로 구성되며 만기 시 차기월물 등으로 롤오버 할 때 발생하는 비용을 반영하는 지수

     Total Return(TR)   : 선물계약으로 구성되며 만기시 차기월물 등으로 롤오버할 때 발생하는 비용, 또 증거금 이외의 투자원금을 채권에 투자할 때의 이자수익을 반영하는 지수

     


     

    이렇게 선물 ETF와 현물 ETF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선물 투자는 보관비용과 증거금 제도 등으로 투자를 용이하게 만들어주지만,

     

     동시에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리스크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관리와 주의 깊은 투자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