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권 이해하기 STEP 2 (Feat. 채권가격과 금리의 상관 관계)경제상식 2024. 1. 10. 16:43반응형
안녕하세요 ~ 잭콩트리 입니다.
오늘은 채권 상식 제 2탄 채권 가격과 금리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또한 관계를 자세히 알아보기 앞어 금리의 정의와 금리의 종류
그리고 금리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리란?
채권투자와 관련된 금리의 종류
금리를 결정하는 요인 ?
채권 가격과 금리의 상관관계
금리란 ?
금리는 돈을 빌리고 빌려주는 과정에서 원금에 붙는 연간 이자의 원금 대비 비율을 의미합니다. 또 한편으로 금리는 돈의 가치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은행에 돈을 예금하면 이자가 붙습니다. 돈을 맡긴 대가로 이자가 붙어 돈이 스스로 증식을 하는 셈이니 금리는 돈의 가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채권투자와 관련된 금리의 종류
💛 표면금리 : 채권의 권면에 표시되어 있는 금리를 '표면금리'라고 합니다. 표면금리는 채권 증서에 적힌 이자율로, 변하지 않는 금리를 뜻합니다.
💛 시장금리 : 시장금리란 한국은행의 개입 없이 다수의 거래당사자가 참가하는 시장에서 자금 수급에 의해 결정되는 금리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정부가 채권을 발행해서 돈을 빌릴 때의 금리인 국고채 금리,시중 은행들 끼리 돈을 빌릴 때의 금리인 콜금리, 은행이 양도성 예금증서라는 것을 발행해서 돈을 빌릴 때의 금리인 CD금리, 삼성전자 같은 각종 회사가 채권을 발행해서 돈을 빌릴 때의 금리인 회사채금리가 있습니다. 시장 금리는 대내외 경제 상황 및 채권의 수요와 공급 등에 따라 수시로 변합니다.
반응형금리를 결정하는 요인?
돈의 가치인 금리는 돈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됩니다. 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 금리는 상승하고, 돈의 공급이 늘어나면 금리는 하락합니다. 경기, 인플레이션, 신용위험,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등은 돈에 대한 수요·공급에 영향을 줘 금리를 변동시키는 요인들입니다.
💛 경기 : 일반적으로 경기가 좋을 때 금리가 상승합니다. 경기가 좋으면 기업의 투자수요나 가계의 소비수요가 늘어납니다. 투자나 소비를 하기 위해서는 모두 돈이 필요하지요. 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니 경기가 좋을 때 금리가 올라가곤 합니다. 반대로 경기가 둔화되면 기업의 투자수요 등이 위축되면서 금리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국가별 비교에서도 비교적 성장률이 높은 신흥국은 금리가 높고, 성장률이 낮은 선진국은 금리가 낮습니다. 성장률이 높은 신흥국에서는 다양한 사업을 통해 돈을 벌 기회가 많기 때문에 왕성한 투자수요가 존재하고, 이를 반영해 금리가 높게 형성되곤 합니다.
💛 인플레이션 : 인플레이션이 생길 때도 금리가 올라갑니다. 물가가 기조적으로 상승하는 인플레이션 국면에서는 돈의 상대적 가치가 떨어집니다. 물가가 오르면 같은 금액의 돈으로 소비할 수 있는 재화와 서비스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돈을 빌려주는 대출자 입장에서 생각해보겠습니다. 타인에게 자금을 빌려준 대가로 받는 이자는 실물이 아니라 돈입니다. 인플레이션이 심화되면 돈의 상대적 가치가 떨어지니, 돈을 빌려주는 입장에서는 더 높은 이자를 요구하게 됩니다. 이자를 더 많이 받지 못한다면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돈으로 받는 금전 대차거래를 하는 것보다 가치가 상승하는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채권자에게 훨씬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역으로 인플레이션 국면에서는 더 높은 이자를 지불하지 않으면 돈을 빌리기 어렵게 됩니다.
💛 신용도 : 자금 대차거래에서 대출자가 지게 되는 리스크는 빌려준 원금과 이자를 받지 못할 가능성입니다. 돈을 빌리는 차입자가 보유한 자산과 소득이 많아 돈을 떼일 리스크가 적은 경우 대출자는 낮은 금리로도 돈을 빌려줍니다. 빌린 돈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이 바로 신용(credit)입니다. 신용도가 높으면 낮은 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고, 신용도가 낮으면 높은 금리를 지불해야 돈을 빌릴 수 있습니다. 당연히 국가가 민간기업보다 신용도가 높기 때문에 정부가 돈을 빌릴 때 발행하는 국채금리는 기업의 차입 증서인 회사채 금리보다 낮습니다. 국가 간에도 마찬가지입니다.
💛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 중앙은행이 경제에 돈을 많이 풀면 돈의 가치인 금리가 하락합니다. 반대로 경제에서 유통되는 유동성을 흡수하는 긴축정책을 쓰게 되면 금리가 상승합니다. 돈이 풍부하면 돈값인 금리가 하락하고, 돈이 희소해지면 금리가 올라가는 것이지요.
채권 가격과 금리의 상관관계
앞 글에서 말씀 드렸다 싶이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비례 관계입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
🧐 금리와 채권가격이 반대로 움직이는 이유?
금리가 올라가면 높은 금리의 안정적인 금융 상품을 선호하는 투자자가 그만큼 늘어나겠죠. 기존에 발행한 채권의 가치는 떨어지게 되는데요. 이때 채권 발행 기관은 더 채권을 팔아야 하니, 투자자에게 더 많은 수익을 약정해주려 채권의 가격을 내리는 거예요.
👩🏫 예시로 설명 드려보면
원금이 100만 원이고 이자율이 연 3%대인 1년 만기 채권을 샀다고 가정했을 때, 이 채권을 가지고 있으면 1년 후 103만 원을 받을 수 있죠. 그러나 기준금리가 연 5%대로 오른다면 어떨까요? 사람들은 연 3% 채권을 팔고 금리 연 5%대의 상품을 사려고 하겠죠. 그럼 1년 후 105만 원을 받을 수 있으니까요. 그래야 살 사람이 생기기 때문이에요.
기준금리가 오르면 📈 채권가격은 내려간다 📉, 결국 채권투자를 할 때 중요하게 보아야 하는 것은 금리인데요.
💛 금리가 상승했다면, (높아진 금리에 맞춰) 새롭게 나오는 채권은 이자율이 높아져요.
💛 금리가 상승했다면, 기존 채권의 가격이 내려가요.
오늘은 채권 가격과 금리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문가들은 고금리가 유지되고 있는 지금이야 말로 채권에 주목할 때라고 합니다.
금리 인상의 막바지에 달했고 이제 금리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제 포스팅이 많은 도움이 되셨는지는 모르겠지만 제 포스팅으로 인해
성공적인 투자에 한걸음 더 가까워지시길 바랍니다.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75년 동안 이어져 온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갈등의 역사 (237) 2024.01.30 선물 ETF 와 현물 ETF 정의와 차이점 총정리 ! (136) 2024.01.17 채권 이해하기 STEP 1 (Feat. 채권의 정의 및 특징, 신용등급) (130) 2024.01.09 요즘 핫한 금테크 ! 국내외 금 ETF 소개 및 장단점 총정리! (89) 2023.12.12 요즘 HOT 그 자체인 금투자 방법 4가지 소개 ! (207) 2023.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