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요즘 핫한 금테크 ! 국내외 금 ETF 소개 및 장단점 총정리!
    경제상식 2023. 12. 12. 17:51
    반응형

     

     

    지정학적 리스크 우려·경기 침체로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중 금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전 세계 중앙은행이 달러 보유 비중을 계속 줄이고 있고 장기적으로 달러의 가치가 하락하는 반면 금은 장기적으로는 물가상승률보다 높은 상승을 보였기 때문에 이런 의미에서 일부 자산은 그 금에 투자하는 것이 나쁘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금 투자방법은 골드바, 금통장, 금현물, 금 ETF 가 있는데요 그중에서 금 ETF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골드바, 금통장, 금현물에 대한 투자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더보기란에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 금 ETF 란? 

    💛 금 ETF  종류 

    (금선물, 금현물,금광회사,인버스, 레버리지 금 ETF)

    💛 금 ETF  의 장·단점 


     

    💛 금 ETF 란? 

     

    금 ETF는 현물은 따로 없이 국제금값을 추종하는 지수에 투자하는 개념입니다.

     

    금 ETF는 골드바 등 실물 금에 투자하는 ETF와 금 선물에 투자하는 ETF, 금광화사 주식에 투자하는 ETF, 레버리지 금 ETF로 분류됩니다. 

     

    보통 금 ETF에 투자한다라고 하는 것은 보통 실물 금에 투자하는 ETF를 말합니다.

     

    금 통장과 달리 실물 금을 실제로 구매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ETF를 이용해 실물 금이나 금 선물 등 일부 파생상품을 보유하고 금 관련 지수를 추종합니다. 금 ETF를 환매하더라도 실물 금을 받을 수 없으며 단순히 현금 거래입니다.

     

    금 ETF는 증권사 계좌만 있다면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하며 IRP(퇴직연금)로도 투자할 수 있는 점도 매력 포인트 입니다.  

     

    다만, 국내 상장된 국제 금 시세 관련 펀드의 경우 금 통장과 마찬가지로 매매차익에 배당소득세 15.4%와 수수료가 붙습니다. 

     

    또한, 해외서 출시된 금 ETF의 경우 양도소득세(22.2%)가 적용되며 증권사에 펀드 운용 대가 수수료를 지급해야 하고 선물 EFT 투자 시 롤오버(만기연장) 비용이 발생합니다. 

     

    💸 상장지수펀드(Exchange Traded Fund): 특정 지수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펀드로, 보통 펀드는 매도와 매수에 2~3일 가까이 시간이 걸리는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펀드를 주식처럼 필요할 때마다 거래할 수 있게 만든 것이 바로 상장지수펀드(ETF)입니다.

     

    반응형

    💛 금 ETF  종류 

     

    ⏹ 실물금 ETF

     

    실물 금 ETF는 실제 실물 금 가격을 추종하는 ETF 입니다. 투자자들이 실제로 금괴를 소유하지는 않지만 ETF는 금의 “가격”을 추적하기 때문에 금 가격이 오르면 그러한 ETF의 가격이 오르고 금 가격이 떨어지면 ETF도 하락합니다.

     

    (1)금선물 ETF

    또한 국내 증권사 발행 금 관련 ETF 대부분이 선물 ETF입니다. 선물 ETF는 금의 선물 가격을 기반으로 ETF 가격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금 선물은 특정 시점에 금을 사고 파는 계약에 따라서 증권 가격이 움직이기 때문에 변동성이 크고 그만큼 리스크도 있습니다. 금 선물 ETF에 투자 시 환헤지가 가능해 환율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금현물 ETF

    현물ETF는 현물(여기서는 금)을 기반으로 ETF 가격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3) 금현물과 금선물의 차이점 

    금 ETF는 선물과 현물의 차이가 있는데 선물은 만기가 도래하면 재투자를 하는 ‘롤오버’ 비용이 발생하지만, 금 현물 ETF는 ‘롤오버’ 비용이 없습니다. 금 현물 ETF는 퇴직연금과 개인연금(IRP) 계좌에서 투자할 수 있지만 실물 투자이기에 보관료 등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금 선물 ETF는 파생상품으로 분류돼 퇴직연금과 IRP 계좌에서 투자할 순 없지만 즉시 매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금광회사 ETF (금광주)

    금광회사 주식 ETF는 금괴나 금 선물에 투자하지 않고 금 채굴회사 주식을 구매하는 것입니다. 금 가격과 금광회사 ETF는 대부분 같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하지만 유통망 문제 ,회사 자금력 등 금 가격+a의 요인도 금광회사  ETF 에 작용합니다.

     

    따라서 금광회사 ETF의 변동성은 금 가격보다 훨씬 더 크고 강력하며 종종 크게 오르락내리락합니다. 일반적으로 스윙 거래에 더 많이 사용되며 장기 보유는 적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금의 시세차익을 목표로 하는 금 ETF와 비교해 금광주 ETF가 변동성이 더 큽니다. 그로 인해 안정적인 투자를 하고 싶다면 금 ETF에, 상승에 크게 베팅하고 싶다면 금광주 ETF에 투자를 합니다.

     

    그러나 상당한 전문성이 없는 한 이러한 원자재 유형 ETF 투자를 권장되지 않습니다.

     

    🔁  인버스 금 ETF

    인버스 금 ETF는 금의 인버스 ETF로 골드(금) 숏 ETF라고도 불립니다. 주가지수 선물, 스와프 계약 등 레버리지 투자 도구를 사용하여 목표 지수와 인버스 수익을 나타내는 배수(예: -1배, -2배, -3배)로 금의 시장 가격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예를들어  인버스 금 ETF 주식에 1,000달러를 투자한다고 가정하면 금값이 5% 하락하면 ETF는 대략 5%의 가치가 증가하여 1,050달러가 됩니다.

     

    ✖2️⃣  레버리지 금 ETF

    레버리지 금 ETF는 금의 일별수익률의 2배수를 쫓는 파생상품 ETF입니다.  예를 들어 레버리지 금 ETF가 1% 상승하면 2%의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 금 ETF 의 특징은 상승폭이 크고 손익기회를 확대하지만 동시에 거래 비용도 확대합니다.

     

    💛 금 ETF  의 장·단점 

     

    👍 금 ETF의 장점

    유동성: 금 ETF는 증권 거래소에서 거래되므로 증권계좌만 있다면 증권사 어플이나 사이트를 통해 손쉽게 투자할 수 있으며  주식과 같이 원할때 사고 팔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IRP계좌에 넣을 수 있는 ETF의 경우 비과세 혜택을 얻을 수 있습니다. 

    비용 효율적: 금 ETF에 투자하는 것은 종종 실물 금을 구매하는 것보다 비용 효율적입니다. 투자자들은 보관, 보험 및 보안과 관련된 비용을 피할 수 있습니다.

    저렴한 운용보수 :  ETF 상품마다 조금의 차이는 있지만 운용 보수도 연 0.5% 수준이기 때문에 금 펀드, 골드 뱅킹 상품에 비해 저렴하다는 점에서 많은 투자자가 금 ETF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환헤지 상품 : 국내에 출시되어있는 금 ETF는 모두 환헤지상품이기 때문에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오로지 금가격 그 자체에만 투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 ETF는 환율 영향없이 온전히 금값 변동을 누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 금 ETF의 단점:

    실제적인 소유권 없음: 골드바, 금통장, 금현물은 실제적인 금을 소유할 수 있지만, 금 ETF 는 금에 대한 직접적인 소유권을 가지지 못합니다.

    관리 수수료: 매년 연간 유지 보수 0.4%를 내야 합니다. 

     

    수수료 : 미국에 상장된 금 ETF의 경우 양도소득세 22%가 붙으며 미국 금 ETF의 경우 달러 환율변동 위험이 있습니다.


    시장위험: 여느 투자와 마찬가지로 금 ETF의 가치도 시장 변동에 따라 변동이 심합니다. 금 가격이 하락하면 ETF의 가치도 하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금 ETF 운용사가 재정적 위기를 겪으면 금 ETF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배당금이 없다 : 금 ETF 는 다른 주식과 다르게 이자나 배당이 없습니다. 


     

     

    아주 장기적으로 보면 금값은 오르고 달러는 하락했습니다. 세계 중앙은행에서 달러의 비중을 축소하는 것을 볼 때 달러의 가치가 장기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고, 금을 더 오를 가능성이 큽니다.

     

    미국채권을 사면 이자가 나오고 주식을 사면 배당이 나오지만 금은 이자도 배당도 안나오기 때문에 많이 투자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장기적으로 보면 물가 상승보다 높았고 시세 차익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전체 투자액에서 10% 정도는 금을 가지고 있어도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잭콩트리였습니다. 

     

     

     

    https://ssukssukupup.tistory.com/34

     

    요즘 HOT 그 자체인 금투자 방법 4가지 소개 !

    지난번 포스팅에서 요즘 비트코인과 금값이 떡상중이라는 글을 다뤘었는데 이전글에 이어 요즘 떡상중인 금투자는 어떻게 해야하는건지 그리고 투자방법에 따른 장단점이 뭐가 있는지에 대해

    ssukssukupup.tistory.com

     

    https://ssukssukupup.tistory.com/33

     

    떡상하는 금값과 비트코인 ! 떠오르는 이유와 앞으로의 전망은 ?

    지난달부터 상승 조짐이 보이던 금값이 며칠 전 온스당 2천135달러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은 4만 1천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금값과 비트코인이 이렇게 오르는

    ssukssukupup.tistory.com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