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HOT 그 자체인 금투자 방법 4가지 소개 !경제상식 2023. 12. 8. 10:24반응형
지난번 포스팅에서 요즘 비트코인과 금값이 떡상중이라는 글을 다뤘었는데
이전글에 이어 요즘 떡상중인 금투자는 어떻게 해야하는건지 그리고
투자방법에 따른 장단점이 뭐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 이전글이 궁금하다면 더보기를 확인해주세요
💛 골드바
💛 금 통장
💛 금 현물
💛 금 ETF
지정학적 리스크 우려·경기 침체로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 중 금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대한 기대로 달러 강세가 누그러들자 현재 금값이 사상최고치를 찍는 등 하늘이 높은줄 모르고 크게 치솟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들도 가만히 있을 수 없으니 '금테크'에 대한 요모조모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금투자 방법에는 골드바, 금 통장, 금 현물, 금 ETF 크게 4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골드바 : 금을 실물로 갖고 있을 수 있습니다. 금을 실물로 보유한다는 심리적 안정감이 있을 수 있지만 대게 선호하는 투자 방법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살 때 부가가치세 10%를 떼고, 사거나 팔 때 5% 안팎의 수수료를 내야 하는 등 비용이 크기 때문입니다. 부가세와 수수료를 감안하여 금값이 최소 15%이상 오르지 않으면 되팔아도 차익을 실현할 수 없습니다.
✔ 골드바는 판매채널에 따라 수수료 차이가 크기 때문에 꼭 체크해야합니다.
📺TV홈쇼핑 : 일반적으로 금 판매 수수료가 가장 비싼 곳 입니다. 금값을 ‘100’이라고 가정하면 여기에 130~140% 판가율
을 적용해 판매합니다. 저렴하다고 광고하지만 실제는 높은 수수료를 매기고 있는 셈입니다.
🏩 백화점 : 백화점 또한 금 판매 수수료가 높은 곳중 한 곳이다. 판가율이 130% 수준입니다.
💰 은행 등 금융기관 : 판가율이 105~107% 수준으로 가장 적은 수수료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주요 업무로 금을 판매하기 보다는 부가적으로 내방 고객에 대한 서비스 차원에서 취급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더해 금 환매도 편리한 편입니다.
✔ 전문가들은 판매가격과 함께 고려해야 할 요소가 ‘순도’라고 강조합니다.
‘99.99 포나인’으로 돼 있는 금이 실제 순도 테스트를 하면 그 이하인 97% 밖에 안나오는 사례가 종종 나오기 때문입니다.
또 하나는 골드바의 외형은 금인데 내부에는 납이 들어있어 40%는 금이고 60%는 납인 경우도 간혹있습니다. 이러한 손실은 결국 신뢰할 수 없는 곳에서 금을 구매하고 확인 절차를 거치지 않은 탓이니 꼭 검증된 곳에서 금을 구매해야합니다.
💛 금 통장 : 비교적 쉽고 간편한 방법으로, 금 통장 계좌에 돈을 넣으면 은행이 입금액에 해당하는 금을 국제시세에 맞춰 금 무게로 환산해 적립시켜주는 방식힙니다. 돈을 찾을 때는 은행이 금을 팔아서 현금으로 돌려주는데 금 실물을 받을 수 있고 또는 금 시세에 해당하는 현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입출금이 편리하단 장점이 있습니다. 0.01g의 작은 단위부터 소액 투자가 가능해 초보자도 쉽게 입문할 수 있습니다.
다만 매매수수료(1%)가 매수와 매도 시 두 번 발생하기 때문에 가입 시 약 2% 손실이 발생하기 되며, 현금으로 받을 때는 배당소득세(15.4%), 금으로 받을 때는 부가가치세 10%가 붙습니다.
💛 금 현물 : 한국거래소 금 시장을 통한 현물거래가 있습니다. 주식 투자할 때처럼 증권사에 금 투자 계좌를 만들어 이 계좌로 한국거래소 금 시장에서 금에 간접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장점으로는 장내 거래 시 양도소득세와 부가가치세(10%)가 없고, 1g단위로 거래가 가능해 소액 투자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다만 개인형 퇴직연금(IRP)과 개인종합자산관리(ISA)로는 투자가 불가하고 실물로 찾을때는 부가가치세가 부과됩니다.
금 현물 계좌 개설이 가능한 증권사는 KB, NH투자, SK, 대신, 미래에셋, 삼성, 신한투자, 유안타, 키움, 하나, 한국투자, 현대차증권 등이 있습니다.
💛 금 ETF : 주식시장에 올라와 있는 금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증권사 계좌만 있다면 거래가 가능하며 IRP로도 투자가 가능합니다.
국제 금값이 실시간으로 반영되며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적은 돈으로도 쉽게 거래할 수 있는것이 장점입니다.
다만, 국내 상장된 국제 금 시세 관련 펀드의 경우 금 통장과 마찬가지로 매매차익에 배당소득세 15.4%와 수수료가 붙습니다.
또한, 해외서 출시된 금 ETF의 경우 양도소득세(22.2%)가 적용되며 증권사에 펀드 운용 대가 수수료를 지급해야 하고 선물 EFT 투자 시 롤오버(만기연장) 비용이 발생합니다.
이렇게 금 투자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보통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골드계좌(금 펀드·골드뱅킹)와 실물인 골드바 투자가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금테크에 있어 ‘금 계좌를 보유할 것이냐 아니면 골드바를 살 것이냐’는 자신이 어떤 소유 목적이냐에 따라 달라지며
안전자산의 개념으로 접근하면 골드바를,
중·장기 투자목적 성격이 짙다면 거래를 쉽게 할 수 있는 골드뱅킹이나 금 펀드가 유리합니다.
자신의 소유 목적에 맞춰 금투자를 해서 꼭 많은 이익 얻으시길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은 금 ETF 에 대해 자세히 다뤄볼 예정이니 관심있으신 분들을 제 다음글을 꼭 읽어봐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하루보내세요 !
반응형'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 이해하기 STEP 1 (Feat. 채권의 정의 및 특징, 신용등급) (130) 2024.01.09 요즘 핫한 금테크 ! 국내외 금 ETF 소개 및 장단점 총정리! (89) 2023.12.12 상품값은 그대인데 양은 줄어든건 착각? '슈링크플레이션' 해결책은? (179) 2023.12.01 금융 상식 / 요즘 가타부타 말 많은 공매도 개념 총 정리 ! (140) 2023.11.16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⑭ (Feat. 실물복제ETF vs 합성ETF) (92) 2023.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