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① (Feat. NAV 와 iNAV, 시장구조)경제상식 2023. 10. 23. 11:32반응형
안녕하세요 잭콩트리입니다 ~
오늘은 ETF의 정의부터 기초 개념까지 정리하여 들고 왔습니다.
전 항상 월급을 받으면 투자는 절대 안 하고 적금이나 예금을 들곤 했는데요 ~
요즘은 돈의 가치가 훅훅 떨어지니 투자를 안 하면 안 되는 시대라고 하더라고요..
저 같은 직장인은 즉각 반응해야 하는 주식 보다 ETF를 추천한다고 하는데.. 다들 이 생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요?
아무튼 ETF 에 대한 글 이제 시작합니다!
1. ETF란 (Exchange Traded Funds)?
2. ETF 투자 방법
3. ETF 시장 구조
4. 유사한 종목인데 ETF 가격대가 다른 이유
5. ETF 상품 종류
6. 좋은 ETF를 고르는 방법
7. NAV (순자산가치)란 ?
8. iNAV(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란? (with 기초지수란? )
ETF란 (Exchange Traded Funds)?
Exchange Traded Funds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라고 한다.
기본적으로 ETF는 펀드, 그중에서 인덱스펀드의 한 종류이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일반 펀드는 판매형 상품으로, 대표적인 판매창구는 은행이다. 하지만 ETF는 은행에서 파는 상품이 아니라, 개인이 직접 종목을 선택하고 주문을 통해 매수하는 매매형 상품이다. 즉, 펀드이기는 펀드이지만 상장된 주식처럼 언제든지 필요할 때 매매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상장된 펀드인 셈이다.
펀드로서 ETF 가 갖는 기본적인 특징은 분산투자에 있다. ETF 중 주식형 ETF의 경우는 최소 10 종목 이상에 의무적으로 분산투자해야 하며 1 종목에 대한 투자비중은 ETF 자산의 30%를 초과할 수 없는 등 분산투자 원칙에 충실한 상품이다.
물론 상품(원자제) ETF와 같이 단일 상품에 투자하는 ETF도 있지만, 투자 대상 자산이 기업 부도와 같은 신용위험으로 갑작스러운 손실을 초래할 일 이이 없는 원자재 자산인 경우에만 1 종목 투자가 가능하다.
현재 상장되어 있는 ETF 중에는 최소요건인 10 종목으로 구성된 주식형 ETF도 있고, 코스피 200 ETF처럼 코스피 200 지수에 포함된 200개의 종목의 대부분을 담아 종목 수가 170여 개에 이르는 ETF도 있다.
ETF 투자 방법
ETF에 투자하는 방법은 개인이 직접 원하는 종목을 선택하여 매매를 수행하는 방법과 전문가가 종목 선택과 매매를 수행하거나 매매만을 대행해 주는 간접 투자 방법이 있다.
ETF는 사실 자산운용사가 기초지수를 선택하고 그 기초지수를 구성하는 자산에 투자하는 상품이라는 점에서 ETF 투자 자체가 간접투자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나 ETF도 다양한 종류가 있고 사고파는 시점에 따라 수익률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경우도 있다.
1. 직접 투자 방법
ETF에 직접 투자하는 것은 주식을 거래하는 방식과 거의 동일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인 HRS 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MTS을 이용하거나
증권회사에 직접 방문 또는 전화를 통해 거래가 가능하다.
1주 단위로 거래가 가능하고 ETF 가격 수준에 상관없이 5원 단위로 거래된다.
2. 간접투자방법
간접 투자 방법은 누군가의 도움을 받는 방법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간접 투자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상품으로 증권회사가 발행하는 ETF 랩 상품이 있다.
그리고 은행이 판매하는 재간접펀드 또는 신탁상품이 있다.
3. 직접 투자 + 간접 투자 = 혼합한 상품
ETF 자동주문 서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회사마다 이름은 다소 상이)라고 하여
종목 선택과 투자금액의 결정은 고객이 하지만 매매 체결은 증원회사가 대행해 줌으로써
월 단위로 적립식 투자가 가능하게끔 설계된 서비스이다.
ETF 시장 구조
ETF 시장은 ETF 증권을 새로 발행하거나 이미 발행된 증권을 일부 소각시키는 발행시장과 발행된 ETF 증권을 상호 매매하는 유통시장으로 구분한다. 발행시장은 기관, 법인만이 참여가 가능하며 개인 투자자는 참여할 수 없다.
발행시장에서 ETF 증권을 새로 발행하는 절차를 '설정(Creation)'이라고 하며 발행된 ETF증권을 일부 소각하는 절차를'환매(Redemption)' 라고 한다. 설정 또는 환매가 발생하면 ETF 증권 수의 증감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지정참가회사 (Authorized Participants)
- 발행시장 내 집합투자업자와 법인투자자 사이에서 ETF의 설정과 해지 신청의 창구 역할 수행
- 유동성공급자와 함께 시장 조성자 기능 수행
※ 유동성공급자 (Liquidity Provider)
- 유통시장에서 ETF가 원활하게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동성을 공급하는 역할 수행
- 차익거래 등을 통해 시장가격과 순자산가치 간의 괴리를 축소시켜 주는 등 시장 조성자 기능 수행
유사한 종목인데 ETF 가격대가 다른 이유
수 많은 ETF 종목들의 가격 수준을 살펴보면 그 가격대가 다양하고 또 동일한 기초자산에 투자하는 ETF 사이에서도 가격대가 다르다. ETF의 가격대가 높다는 것이 그 ETF가 수익률이 좋다는 것을 의마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자산 운용사가 ETF를 처음 설계할 때, 가격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ETF 의 최초가격은 ETF 상품을 설계하여 운용하는 자산운용사가 결정하는데 보통 투자자들이 부담없이 거래할 수 있는 1~2만 원대 수준에서 ETF 거래를 시작할 수 있도록 상품을 설계한다.
ETF 상품 종류
① 섹터 ETF - 지수투자보다 변동성은 크지만 위험을 분산할 수 있다.
② 인버스 ETF - 코스피지수가 떨어지면 이익을 얻고, 오르면 손해를 보는 상품
③ 해외 ETF - 미국, 유럽 등 국가에 투자하는 상품
④ 지수 ETF - 대표적인 기업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ETF 상품
좋은 ETF를 고르는 방법
좋은 ETF를 고른다는 것은 미래를 예측하여 높은 투자수익을 얻을 수 있는 ETF를 고른다는 의미가 아니라, 당초의 운용 목표대로 기초지수를 오차 없이 잘 따라가고 있는 ETF를 선택하여 ETF의 실제 가치와 최대한 유사한 가격에 거래할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좋은 ETF라는 의미이다.
NAV (순자산가치)란?
ETF의 자산에서 갚아야 할 부채(운용보수 등)를 차감한 것을 순자산 또는 순자산총액이라고 하는데, 이 순자산을 발행된 ETF의 총 증권 수로 나눈 값을 순자산가치(NAV)라고 부르며 이는 일반펀드에서 말하는 기준가격에 대응되는 개념이다.
NAV는 저녁 7시~9시에 하루 한 번 산출되고 이 지표를 다음날 공표하기 때문에 증권회사들은 이를 '전일 NAV'라는 표현으로 투자자에게 제공한다.
- NAV 산출되는 원리 = (자산총액 - 부채총액) / 발행된 ETF 증권 수
- NAV 산출 예시
자산 부채 삼성전자 1억원
(주당 100만원)
포스코 5000만 원
(주당 10만원)
현금 10만원미지급보수
10만원자산합계(A) = 1억 5,100만 원
부채합계(B) = 10만원
순자산 (C=A-B) = 1억 5,090만 원
ETF 발행증권 수(D) 10만 증권 가정시
NAV(C/D) = 1,509원다만, ETF는 일반펀드와 다르게 주식처럼 실시간 매매가 가능하므로 NAV만을 보고 매매한다면 실시간 매매의 의미가 반감될 수 있다. (일반펀드는 하루에 한 번 발표되는 기준가격으로만 펀드 가입과 환매가 가능)
iNAV(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란?
ETF의 핵심 투자지표로 ETF의 핵심투자지표이다.
ETF는 기초지수의 성과를 그대로 따라가도록 설계된 상품이기 때문에 투자자 간 거래의 결과로 결정되는 ETF 시장가격 또한 지수의 움직임을 그대로 따라가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투자자가 ETF를 실제 가치에 비해 비싸게 사거나 싸게 팔게 된다면 일반 펀드보다도 못한 상품이 될 수도 있다. 투자자들이 적절하지 못한 가격으로 매매하는 것을 방지하고 ETF 시장가격이 기초지수의 성과대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서 거래소는 ETF NAV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는데 이를 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iNAV)라고 한다.
※ 기초지수란?
ETF가 추종하고자 하는 지수를 말하며, 통상 비교지수, 벤치마크(Benchmark) 등으로도 불립니다.
지수는 특정 시장이나 산업, 자산군 등의 가격 변동 상황을 나타내는 수치, 지표를 말하며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1. 대표지수 : 코스피, 나스닥, 상해종합지수와 같이 각 나라의 증시를 대표하는 것
2. 업종별 지수 : 자동차, 이차전지, 화학 등
3. 기타 특정지수 : 그룹주, 배당주, 성장/가치주같이 특정목적에 맞도록 지수산출기관에서 산출
지금까지 ETF의 개념부터 좋은 ETF 고르는 방법 등 기초 적인 내용에 대해서 다뤄 봤습니다!
ETF 관련 내용을 한 글에 담으려니 너무 길어져서 2~3개 나눠서 글을 작성하고자 합니다.
다음 글도 많은 기대 부탁드려요! ^^
지금까지 잭콩트리였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https://ssukssukupup.tistory.com/9
재테크 꿀 팁 제 2탄 / ETF 개념 총 정리 ! ② (Feat. 가격괴리, 추적오차, 환노출·환헤지)
안녕하세요 ~ 잭콩트리입니다 ~ 오늘은 ETF 개념 정리 제2탄! 가격괴리, 추적오차, 환노출·환헤지 그리고 합성 H에 대해서 글을 작성하고자 합니다 ~ (1 탄을 읽어야 내용 이해가 잘 될거 같아서 시
ssukssukupup.tistory.com
반응형'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③ (Feat. LP 유동성 공급자) (2) 2023.10.25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② (Feat. 가격괴리, 추적오차, 환노출·환헤지) (2) 2023.10.24 경제 상식 제 3탄 / FTA와 WTO 란 ? (2) 2023.10.19 경제 상식 제 2탄 / 브레튼우즈 체제 and 킹스턴 체제란 ? (2) 2023.10.17 경제 상식 제 1탄 / 환율이란? (2) 2023.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