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상식 제 1탄 / 환율이란?경제상식 2023. 10. 16. 17:27반응형
안녕하세요 ~ 잭콩 트리 입니다 ~
저와 같이 경제린이 같은 분들을 위해 저도 공부 하고 경제린이 독자 분들도 공부할 수 있게 경제 상식 용어들을
블로그에 정리 하고자 합니다. 첫 번째 경제 상식으로 환율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
1. 환율이란?
2. 환율표시방법
3. 환율제도
4. 환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환율이란?
국가간의 거래에 있어서 화폐의 교환이 먼저 이루어 져야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자국 화폐와 타국 화폐의 교환비율을 환율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 1달러와 교환되는 원화의 양을 환율로 정의한다. 달러와 1,000원이 교환된다면 원·달러 환율은 1,000(원/달러)이다. 1달러와 1,200원이 교환된다면 원·달러 환율은 1,200(원/달러)이 된다. 이처럼 환율이 오르면 1달러를 얻기 위해 필요한 원화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원·달러 환율상승 = 원화가치 하락’이 성립하는 것이다.
환율 표시 방법
환율의 표시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자국통화표시환율이고, 다른 하나는 외국통화표시환율이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자국통화표시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주로 자국통화표시방법을 이용해 환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통상 단위에서 달러를 생략하고 환율을 ‘1,000원’으로 나타낸다.자국통화표시환율은 ‘1달러=1,000원’과 같이 외국 통화 1단위와 교환되는 자국 통화의 양으로 표시한다. 즉 외환시장에서 1달러와 1천 원이 교환되고 있다면 환율은 1,000원(원/달러)이 된다. 이때 환율의 단위가 ‘원/달러’이다.
ex) 1달러와 800원이 교환되는 경우 외국통화표시환율은 1원=0.001달러와 같이 자국 통화 1단위와 교환되는 외국 통화의 양을 표시하기 때문에 1원과 교환되는 달러의 양을 환율로 정의하고 환율은 0.001(달러/원)이 된다. 이 경우는 환율의 단위가 ‘달러/원’이 된다.
ex) 1달러와 800원이 교환되는 경우 환율제도
환율제도는 크게 고정환율제도와 변동환율제도로 구분된다.
고정환율제도( fixed exchange rate system) 란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환율을 일정수준에 고정시키는 제도다. 19세기 말부터 확립된 금본위제도와 1944년 44개 연합국 대표들이 미국의 브레턴우즈에 모여 합의한 브레턴우즈 체제가 고정환율제도의 대표적인 예이다(브레턴우즈 체제하에서는 금 1온스당 35달러라는 고정된 비율로 금과 달러를 교환해야 했다).
그러나 1971년 미국 닉슨 대통령의 금태환 중단선언과 함께 브레턴우즈 체제는 서서히 붕괴되어 갔다.결국 1976년 자메이카의 수도 킹스턴(Kingston)에서 개최된 회의(킹스턴 체제)에서 환율제도는 변동환율제도로 변경되었다.
변동환율제도는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채택하고 있다. 변동환율제도는 외화의 수요·공급에 따라 환율이 변동되는 제도다. 예를 들어 달러공급이 많아지면 달러가치가 내려갈 것이고 원·달러 환율은 내려간다. 물론 달러수요가 많아지면 달러가치가 올라가고 원·달러 환율은 올라간다.
환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환율은 한 나라의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환율이 한 나라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나라의 전반적인 정책, 경제적 상황에 따라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습니다. 환율이 경제에 미치는 주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무역수지:
환율은 한 국가의 무역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 국가의 통화가 무역 상대국에 비해 약화(절하)되면 수출은 경쟁력을 갖게 되고 수입은 더 비싸진다. 이는 수출이 증가하고 수입이 감소함에 따라 무역수지의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통화의 강세(절상)는 반대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인플레이션:
환율 변동은 한 나라의 물가 상승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국가 통화의 가치 하락은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물가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반대로 통화가 강세를 보일 경우 수입 가격이 저렴해져 물가 상승 압력을 줄일 수 있다.외국인투자:
환율은 외국인 직접투자(FDI)와 외국인 포트폴리오 투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통화 약세는 해당 국가의 자산 취득 비용을 낮추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국가로 만들 수 있다. 반대로 통화 강세는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해당 국가의 매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경제 성장:
환율은 한 국가의 경제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통화 약세는 수출 주도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고, 통화 강세는 한 국가가 상품과 서비스를 수출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어 잠재적으로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다.
이자율:
환율 변화는 한 나라의 금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앙 은행들은 경제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환율 움직임에 대응하여 금리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금리가 높으면 외국 자본을 끌어들이고 통화 강세를 지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관광:
환율은 한 나라의 관광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통화 약세는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관광객들에게 더 매력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것은 관광 부문을 활성화하고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외채:
통화 약세는 외채 상환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당한 외채를 보유한 국가들에게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
통화 준비금:
국가들은 자국 통화를 안정화하기 위해 외환 보유고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외환 시장에 대한 개입은 국가의 외환 보유고와 전반적인 재정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요약하면, 환율은 무역, 인플레이션, 투자, 금리, 재정 정책 및 다양한 부문에 영향을 미치며 한 나라의 경제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칩니다. 환율의 구체적인 영향은 한 나라의 경제 구조, 정책 및 광범위한 글로벌 경제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중앙 은행과 정부는 종종 환율 변동을 관리하고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와 정책을 사용한다.환율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
뉴스를 볼때 환율이 늘 항상 헷갈리곤 했는데요 ~ 오늘 이렇게 알아보면서 환율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이해되었습니다.
독자분들께도 많은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곧 찾아올 다음 글에서는 브레턴우즈 체제와 킹스턴 체제에 대한 글로 찾아 오겠습니다.글을 포스팅 하면서 언급한 두 체제에 대해서 궁금 하더라구요. 저만 그런가요..? 아무튼 다음글도 기대해주십시오 !
저의 블로그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③ (Feat. LP 유동성 공급자) (2) 2023.10.25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② (Feat. 가격괴리, 추적오차, 환노출·환헤지) (2) 2023.10.24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① (Feat. NAV 와 iNAV, 시장구조) (2) 2023.10.23 경제 상식 제 3탄 / FTA와 WTO 란 ? (2) 2023.10.19 경제 상식 제 2탄 / 브레튼우즈 체제 and 킹스턴 체제란 ? (2) 2023.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