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1학기 국가장학금 신청방법 및 지원자격 정리 (11/22부터 신청 접수)경제꿀팁 2023. 11. 24. 11:45반응형
안녕하세요 ~ 잭콩트리 입니다 ^^
오늘은 2024학년도 1학기 국가장학금 신청이 시작되었음을 알려드리고자 들고와봤습니다 !
2024학년도 1학기 국가장학금 1차 신청이 11월 22일(수) 9시부터 12월 27일(수) 18시까지 진행 됩니다.
2024년에는 혜택이 확대되어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의 자녀에게는
등록금 전액 지원이 이뤄지며, 일부 지원 단가도 인상되었으니 잊지말고 신청하세요 !
국가장학금이란 ?
신청일정
대상자
지원자격
신청방법
국가장학금 5가지 유형 자세히 알아보기
국가장학금 통합 신청하기
🔎 국가장학금이란 ?
국가장학금은 등록금 부담 완화를 위한 대학생 학자금 지원으로, 소득 연계형 장학금이다.
학자금 지원은 소득, 재산, 부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신입생부터 복학생까지 모든 대학생이 신청 가능하다.
지원 금액은 학자금 지원구간별 연간 최대 350 ~ 등록금 전액을 지원 받을 수 있다.
📆 신청일정 : 2023. 11. 22.(수) 9시 ~ 2023. 12. 27.(수) 18시
*서류제출 : 2023. 11. 22.(수) 9시 ~ 2024. 1. 3.(수) 18시
*가구원동의 : 2023. 11. 22.(수) 9시 ~ 2024. 1. 3.(수) 18시※ 마감 이후 신청이 불가하므로 반드시 기간 내 신청
🙋♀️ 대상자: 재학생 · 신입생 · 편입생 · 재입학생, 복학생 등 모든 대학생
※ 재학생은 1차 신청이 원칙이며, 재학 중 2회에 한해 2차 신청으로 수혜 가능💰 지원자격 ( 국가장학금Ⅰ유형 기준, 유형별로 다를 수 있으니 아래 링크에서 자세한 사항 확인 바랍니다.)
- 소득 : 본인과 부모 등 가구의 소득과 부동산, 금융 등 재산을 환산하는 '월 소득인정액'이 학자금 지원 8구간(1145만9826원·내년 4인가구 기준) 이하여야 받을 수 있다.
- 성적 : 성적은 일반 재학생의 경우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을 이수하고 평점이 B학점 이상이어야 한다. 기초·차상위 계층은 C학점 이상이며 신·편입생 등은 적용 않는다.
🙆♂️ 신청방법 : 반드시 학생 본인이 직접 신청, 한국장학재단 누리집 및 모바일 앱에서 신청
- 사용 가능한 전자서명수단 한 가지 준비
① 공동인증서
② 금융인증서
③ 간편인증(네이버, 뱅크샐러드, 삼성패스, 신한인증서, 카카오톡, KB인증서, 토스, 통신사 PASS, 페이코 등)
- 서류제출 대상자는 온라인으로 서류 제출 필수이므로 신청 2~3일 후 누리집 및 모바일 앱에서 제출 필요 서류 확인
① 누리집 : 장학금 신청 → 서류제출현황
② 모바일 앱 : 장학금 → 서류제출
✍ 국가장학금은 총 5가지 유형이 있으며 지원금액, 제출서류 등 자세한 내용은 각 유형을 클릭하면 확인 가능하다.
국가장학금 I 유형(학생직접지원형) 소득수준에 연계하여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혜택이 주어지도록 설계된 장학금 국가장학금 II 유형(대학연계지원형) 대학의 적극적인 등록금 부담완화 참여를 도모하기 위해 대학자체노력과 연계하여 지원하는 장학금 국가장학금 II 유형(신·편입생지원) 입학금 폐지가 완료된 대학의 신·편입생 수업료를 지원하는 장학금 다자녀 국가장학금 다자녀 가구의 등록금 부담 경감을 위해 지원되는 장학금 지역인재장학금 지역대학의 우수 인재 유치 및 미래인재 양성을 위해 지원되는 장학금 💙 장학금 통합 신청 시 국가장학금 Ⅰ·Ⅱ유형, 신·편입생지원, 다자녀 국가장학금, 지역인재 장학금 일괄 신청되며
개별 장학금의 수혜 자격 요건 충족 시 해당 장학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 국가장학금 신청 시 국가장학금Ⅱ유형(신·편입생지원)만 지원받기 희망하는 경우(소득재산조사를 원치 않는 경우)
서류제출 및 가구원동의 불필요.
단, 그 외(국가장학금 Ⅰ·Ⅱ유형(대학연계지원형), 지역인재장학금) 장학금 지원 불가
이렇게 2024년도 1학기 국가장학금 신청방법 지원자격 등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대학생 분들은 잊지말고 꼭 신청하시기를 바랄게요 !
이만 이글을 마치겠습니다. 늘 행복하세요 잭콩트리였습니다 ! 😊
반응형'경제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뼈가 시리도록 추운 겨울, 비싸진 난방비 아끼는 방법 꿀팁 대공개 ! (149) 2023.12.13 2024 확대되는 세액공제 소득공제 총 정리 ! (159) 2023.12.06 입출금이 자유로운 고금리 파킹통장에 대한 개념 및 은행 금리 비교 ! (143) 2023.11.22 2023년 12월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및 계좌개설 일정안내 (17) 2023.11.21 만기 시 수령액 5000만원!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및 은행 별 금리 비교 ! (126) 2023.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