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4 확대되는 세액공제 소득공제 총 정리 !
    경제꿀팁 2023. 12. 6. 17:40
    반응형

     
     
     
    안녕하세요 ~ 잭콩트리입니다.
    오늘은 내년부터 확대되는 세액공제 소득공제 등에 대해 다뤄보고자 합니다.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월세 세액공제,
    출산을 장려하는 둘째 자녀에 대한 자녀세액 공제액 증가 등의 내용을 들고 왔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세요! 
     
     

    💳 신용카드 소득공제 확대
    🏠 월세 세액공제 한도·소득기준이 상향
    👨‍👩‍👧‍👧 둘째 자녀에 대한 자녀세액 공제액 증가
    👭 자녀장려금도 대상과 최대지급액이 확대
    🏢 기업이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출산·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확대
    👰🤵 출산·혼인 시 증여재산 1억 5천만 원까지 공제
    🧰 가업승계 시 증여 시 부담 완화 
    🏡 기회발전특구 과세 특례 제도 신설
    👩‍💻 기업에게 주는 세제 혜택 
     

     
     

    💳 신용카드 소득공제 확대

     
    내수 소비를 뒷받침하기 위해 내년 1년 동안으로 신용카드 소득공제가 확대됩니다. 
     
    내년 신용카드 사용 금액이 올해 사용 금액의 105%를 초과할 경우, 초과분의 10%에 대해서도 소득공제를 적용한다고 하는데요. 
     
    예를 들어 올해 2000만 원 → 내년 3100만 원으로 신용카드 사용 금액이 늘어났다면, 105%를 초과하는 금액인 1000만 원의 10%인 100만 원을 추가로 공제해 주는 것입니다. 
     
    ex) 3,100-(2,000*105%) = 100
     
     

    🏠 월세 세액공제 한도·소득기준이 상향

     
    세입자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월세 세액공제 한도·소득기준이 상향됩니다. 
     
    소득기준은 현행 총 급여 7천만 원에서 8천만 원으로, 한도액은 현행 연간 월세액 750만 원에서 1천만 원으로 각각 높아집니다. 
     

    반응형

     

    👨‍👩‍👧‍👧 둘째 자녀에 대한 자녀세액 공제액 증가

     
    출산 장려를 위한 조치도 추가되어 둘째 자녀에 대한 자녀세액 공제액이 15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늘어납니다.
     
    자녀별로 첫째·둘째·셋째 이상 세액공제액이 현행 15만·15만·30만 원에서 15만·20만·30만 원으로 바뀌게 됩니다.

    더하여, 조손 가구를 지원하기 위해 기본공제 대상도 자녀에서 손자녀로 넓어지게 되었습니다. 

     
     

    👭 자녀장려금도 대상과 최대지급액이 확대

     
    저소득가구의 자녀 양육을 지원하는 자녀장려금도 대상과 최대지급액이 확대됩니다. 
     
    자녀장려금을 받을 수 있는 총소득 기준액이 종전 4천만 원 미만에서 7천만 원 미만으로 확대되고, 
     
    총급여액이 2천100만 원 미만인 홑벌이 가구와 2천500만 원 미만인 맞벌이 가구는 자녀 1인당 80만 원의 장려금을 받을 수 있었는데 내년부터는 100만 원으로 늘어납니다.
     
     

    🏢 기업이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출산·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확대 

     
    기업이 근로자에 지급하는 출산·보육수당 비과세 한도는 월 10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늘어납니다. 
     
     

    👰🤵 출산·혼인 시 증여재산 1억 5천만 원까지 공제

     
    혼인·출산 시 증여재산을 추가로 공제받을 수 있는 제도도 도입되었습니다.
     
    현재는 부모가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줄 때 10년간 5천만 원까지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데, 혼인신고일 전후로 각 2년 이내에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은 재산은 추가로 1억 원이 공제됩니다. 
     
    즉, 혼인신고일 전후 4년간 최대 1억 5천만 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부부 합산으로는 3억 원까지 비과세가 가능)
     
    또한, 출산하는 경우에도 자녀출생일 후 2년 이내에 증여받은 재산을 추가로 1억 원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다만 혼인·출산 공제를 모두 받는 경우 총 공제한도는 1억 원입니다.
     
     

    🧰 가업승계 시 증여 시 부담 완화 

     
    가업승계 때 세율 10%가 적용되는 증여재산가액 한도가 종전 60억 원에서 120억 원으로 확대됩니다. 또한, 증여세 연부연납(분할납부) 기간은 5년에서 15년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 기회발전특구 과세 특례 제도 신설

     
    기회발전특구는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신설되는 구역으로 각종 세제 지원과 규제 관련 혜택을 제공합니다. 
    기회발전특구 내 창업하거나 사업장을 만든 기업은 소득·법인세를 5년간 100% 감면받을 수 있다. 이후 2년 동안에는 50%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기회발전특구에 있는 주택을 1채 취득한 경우 이를 주택 수에서 제외합니다. 기존 일반주택을 양도할 때 1세대 1 주택자로서 양도소득세 비과세를 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수도권 기업이 수도권 내 부동산을 양도한 뒤 특구로 이전하면, 수도권 부동산 양도로 얻은 차익은 특구 내 부동산을 처분할 시점까지 과세가 미뤄지게 됩니다.
     
     

    👩‍💻 기업에게 주는 세제 혜택 

    리쇼어링(국내복귀) 기업에 대한 세제 지원도 강화해 이들의 국내 복귀를 유도할 예정입니다. 
     
    해외진출 기업이 국내로 복귀하는 경우 소득세·법인세를 7년간 100% 감면받을 수 있으며 이후 3년 동안에는 50%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K-콘텐츠 제작 지원을 위해 영상콘텐츠 제작비용에 대한 세액공제율이 대기업은 5%, 중견기업은 10%, 중소기업은 15%로 각각 확대됩니다. 
     
     
     
     

     

    이렇게 2024년부터 시행되는 세제혜택, 공제혜택에 대해 들고 와봤습니다. 
    제 씅에는 안 차지만.. 해당되시는 분들이 있다면 놓치지 말고 세제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좋은 하루 보내세요 ! 
    그럼 이만 잭콩 트리였습니다 😉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