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 대 금리로 주택청약대출이 가능하다?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에 관하여
    경제이슈 2023. 11. 27. 18:02
    반응형

     

     

    다들 집을 사기 위해 청약통장 하나씩은 들고 계시지요?

     

    하지만 분양가 상승으로 '로또 청약'이 사라진 데다 최근 미분양 아파트 단지가 속출하자 

     

    청약 통장의 효용성이 떨어졌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최근 인기가 시들해지는 추세였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청약통장 업그레이드 버전'을 내놓는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는데요.

    정부가 추친하는 업그레이드된 버전의 통장에는 어떠한 혜택과 가입 자격이 있는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청약통장 업그레이드 버전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혜택 및 가입 기준

    🏡 주거지원 확대 방안 발표

    👨‍👩‍👧‍👦 주거지원 확대 방안을 통해 예상되는 효과 및 지적사항

     

     

    💰 청약통장 업그레이드 버전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일반 청약보다 혜택을 강화한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이 있습니다. 이걸 업그레이드하겠다고 한것이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입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보다 더 업그레이드된 '주택드림 청약통장'

     

    내년 2월 신설되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은 기존의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 종합저축을 확대 개편한 것이며, 내년 2월에 출시되면 기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자도 자동으로 전환됩니다. 업그레이드된 내용을 하나씩 살펴보면 : 

     

    💙  가입 기준을 기존 3,600만 원에서 연 소득 5000만 으로 대폭 완화

    💙  이자율은 4.3%에서 4.5%로 인상

    💙  한 달에 저축할 수 있는 도 50만 원 → 100으로 확대

    💙  세대주가 아니더라도 가입 가능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은 '주택을 소유하지 아니하는 세대'의 세대주여야 했음)

    💙  대출금리도 2%대 저금리로 대출 가능, 결혼하고 자녀를 둘 경우 최저 1.5%대 금리 적용

     

    🏠 주택드림 대출 이용 가능: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청약에 당첨되면 청년 주택드림 대출을 이용할  있습니다. 최대 40 만기최저  2.2% 고정금리로 분양가의 80%까지 대출받을  있습니다

    + Plus 청년 주택드림 대출이란? 

    정부가 2025년에 내놓을 계획인 ‘청년 주택드림 대출’은 분양가 6억 원, 전용면적 85㎡ 미만인 주택에 한해 분양가의 80%까지 대출해 주고, 40년까지 나눠서 갚을 수 있으며, 대출금리는 최저 연 2.2% 수준이 될 예정입니다. 더하여, 결혼·출산을 하면 추가 금리 인하도 가능! 

     

    👶결혼, 출산시우대금리적용:결혼과 출산, 다자녀등의 요건을 충족하면추가 우대금리가 적용됩니다. 청약당첨 이후결혼하면 0.1%,다음출산부터는 0.2% P 금리가 인하됩니다. 

     

    단 대출 금리하한선은 1.5%입니다. 

     

    +Plus 청약통장이란? 

     

    새로 지은 아파트를 분양받고 싶다고 손 드는 것을 '청약'이라고 하는데요. 청약통장에 일정 금액·횟수 이상 돈을 넣어야 참가 자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 

     

    + Plus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이란 ? 

     

    일반 청약통장보다 이자·세금 혜택을 더 많이 줘서 청년들이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2018년 출시된 통장입니다. 만 19~34세, 연 소득 3600만 원 미만인 무주택자 청년이 가입할 수 있고, 현재 최대 연 4.3%의 이자율이 적용됩니다.

     

    👇👇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청년들 다모여!! 2023년 12월 31까지 가입 가능한 청년우대형주택청약 가입 방법부터 혜택까지 총

    안녕하세요 잭콩트리 입니다 ~ 금리도 너무 좋고, 비과세 혜택에 소득공제까지 다 받아갈 수 있는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기존에 2021년까지 가입이 가능하였는데 청년

    ssukssukupup.tistory.com

    반응형

     

     

    🏡 주거지원 확대 방안 발표

     

    아울러 정부는 청년을 위한 전월세 대책도 함께 발표했습니다. 당장 내 집 마련이 어려운 청년 등의 전월세 부담을 낮추기 위한 저금리의 주택기금 전월세 대출 지원도 강화하고, 월세 세액공제도 확대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발표한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 

     

    🧘‍♀️ 월세 대출 기준 완화: 청년보증부 월세대출(보증금 5000만 원→6500만 원 이하, 보증금 대출한도 3500만 원→4500만 원, 월세 대출한도 50만 원), 주거안정 월세대출(대출한도 월 40→60만 원)에 대해 지원대상과 한도를 확대하고, 전월세 계약 종료 직후 일시 상환하는 부담도 8년 내 분납으로 완화할 예정입니다.

     

    👩‍💼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세자금 대출 원금 분할상환 유예  :현재 대출연장 시 원금 10% 이상 상환 또는 0.1% p 금리가산을 하고 있는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세자금 대출의 경우에도 연장 1회에 한해 원금 분할상환을 유예를 허용할 예정입니다.

     

    🔁 전세 대환대출 지원: 소득 5,000만 원 이하의 청년을 대상으로 높은 금리의 시중 은행 전세대출을 저금리 주택기금 전세대출로 전환하는 대환대출 지원도 확대하고, 현재는 전세계약 후 3개월 내에만 가능 한 대환대출을 소득 5000만 원 이하의 경우 6개월까지 허용할 예정입니다.

    ※ 대환대출이란? 금리나 한도 면에서 더 유리한 대출 상품으로 갈아타는 금융거래 방식

     

    😇 세대별·계층별 주거지원 확대: 정부는 고령자, 전세 사기 피해자, 주거 취약계층 등을 위한 맞춤형 주거지원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돌봄과 주거 서비스가 결합된 새로운 민간임대주택인 '실버스테이' 도입을 추진하고, 공공이 공급하는 고령자복지주택은 물량을 연 1000 가구에서 3000 가구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또한, 현재 만 34세 이하인 연령 기준을 30대 후반으로 확대하는 것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 주거지원 확대 방안을 통해 예상되는 효과 및 지적사항

     

    👥 연간 10 혜택 예상: 정부는 향후 5년간 34만 호의 청년 공공분양주택 공급 계획과 맞물려 연간 10만 명이 새 청약통장의 혜택을 받을 거로 예상했습니다. 다만, 이미 비싼 집값에 청년 월평균 임금이 250만 원인 점 등에 비춰 정책 혜택이 청년층에서도 일부에게만 돌아갈 거란 비판도 있습니다.

     

    😒 수도권 청년 주거난 해소에는 효과가 제한적: 전문가들은 수도권 청년 주거난 해소 효과는 특히 미미하리라 내다봤습니다. 최근 분양가가 치솟으면서 6억 원 이하 주택 공급이 쪼그라들어서입니다. 이에 분양가 기준을 더 올려야 한다는 주장도 따라옵니다.

     

    🤔 뉴홈과 혜택 중복?: 공공분양주택인 뉴홈 청약과 혜택이 중복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5억 원 한도에서 분양가의 80%를 최저 연 1.9% 고정금리로 대출해 주는 뉴홈 대출상품이 이미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뉴홈 전용 모기지와 청년 주택드림 대출 중 유리한 쪽을 선택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중·장년층이 소외 :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20·30세대에 혜택이 쏠리면서 중·장년층이 소외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내 집 마련이 더 시급한 40~50대와 고령층에 대한 주거 대책이 빠진 점은 아쉽다”며 “총선용으로 급조되기보다 무주택 서민을 위한 근본적이고 중장기적인 주거복지 로드맵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지적했습니다. 

     

    💸 늘어가는 가계부채 : 경제 규모 대비 가계부채  세계 최고 수준인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또 늘어나는 거 아니냐는 걱정이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지난 9월 말 기준 약 1876조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는데, 이중 약 60%가 주택담보대출로 생긴 빛이라고 합니다. 정부가 저금리 대출 상품을 늘려서 “빚내서 집 사자!” 하는 현상을 부추긴다고 비판도 있습니다. 

     

     

     

     

    이렇게 내년 2월 신설되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런저런 말이 많으나 청년우대형 주택청약 가입조건에 맞지 않아 가입하지 못하셨던 분들은 

     

    잊지 말고 하시는 게 무조건 이득이지 않나 생각됩니다. 

     

    정부는 임대주택 공급 위주가 아닌 청년층의 자산형성 초점을 맞춘 주거 안정 방안을 차례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하니

     

    저도 그에 발맞춰 블로그에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그럼 이만 잭콩트리였습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