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지구촌 최대 기술 전시회 CES 2024 주목할 점 3가지
    경제이슈 2024. 1. 22. 16:28
    반응형

     

    안녕하세요 ~ 잭콩트리 입니다. 

     

    지구 최대 기술 전시회인 CES 2024가 1월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습니다. 

     

    과학기술이 핵심 생존 요건이 된 기술 패권 시대에 더욱 중요해진 미래 기술 트렌드를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세계인의 이목이 몰렸는데요. 

     

    국내외 유명 기업뿐만 아니라 인기 가수 지드래곤 까지 CES에 참석했다고 합니다. 

     

    CES 가 도대체 뭐길래 전 세계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지. 올해 CES 에서 주목해야할 점은 무엇인지 정리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CES가 뭐길래 지드래곤까지 ? 

     

    CES 는 한국말로 세계가전전시회 (The International Consumer Electronics Show)입니다. 매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3대 가전·IT 전시회 중 하나인데요. 가전제품뿐 아니라 모든 최신 기술 트렌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행사이기 때문에 온 세계의 이목이 몰리는 전시회입니다. 9~12일 열린 CES 2024에는 150개국에서 약 4300개의 기업이 참가했고, 13만 5000명 이상이 방문했습니다. 주관기관인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CES 2024의 화두는 ‘한국(Korea)’이라고 단언할 만큼 한국은 784개 전시업체, 1만3000명 참관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반응형

     

    👩‍🏫 CES 2024, 주목해야할 점은? 

     

    CES 2024의 슬로건은 ‘All Together, All ON’으로, ‘모든 기업이 기술 기반으로 전력을 다해 함께 질주해야 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으며, 참여 기업 대부분 AI를 적용한 기술·제품을 선보였습니다. 


    AI(생성형 AI, 온디바이스AI) : AI(인공지능)는 높은 성장세를 기록 중인 산업인 동시에, 향후 수년간 보여줄 높은 성장세가 더욱 주목되는 산업입니다. 데이터 처리 열량의 확대, '생산형 AI'와 같은 새로운 기술력이 보급되며, 기업들이 AI를 다양한 비즈니스에 활용하며 AI 디바이스에 탑재하는 '온디바이스 AI'가 부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생성형 AI란 예술, 음악, 소프트웨어 코드, 글쓰기 등 새롭고 독창적인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기술입니다. 사용자가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인공 지능은 인터넷의 기존 사례에서 학습한 내용을 기반으로 응답을 생성하여 종종 독특하고 창의적인 결과를 생성합니다. 구글과 삼성은 아래와 같이 생성형 AI 기반 서비스를 CES에서 공개하였습니다. 

     

     

     

    온디바이스 AI란 클라우드를 거치지 않고 기기에서 바로 명령과 실행을 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인터넷 연결 없이도 기기 내부에 AI 기술을 장착해 구동하는 방식을 지칭합니다. 일상에 흔히 쓰는 가전제품에 온디바이스 AI를 적용해 선보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삼성은 온디바이스 AI 탑재한 냉장고, 세탁기 등을 소개했습니다. 

     

     

     


    자동차 이제 이동 수단일 뿐만 아니라 문화생활공간 : 이번 CES에서 차량은 더 이상 운송 수단의 가치뿐만 아니라 이동 및 문화생활의 공간으로서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는 것을 강조하며  AI를 기반으로 한 자동차를 전시하는 업체들이 많았습니다. 주로 운전자와 대화하며 목적지 등을 설정하는 등 비서 역할 AI를 적용한 자동차를 선보였고요. 자동차 외에도 무인 굴착기·트랙터, 자율주행 보트 등이 전시됐습니다. 

     

     

     

    인정받은 K-스타트업: 세계 최대의 IT·가전 기술 전시회인 CES 2024에서 국내 기업 다수가 최고혁신상을 받았습니다. 7개의 최고혁신상을 수상한 미국보다 더 많이 받으며 한국은 가장 많은 최고혁신상을 받은 국가가 됐습니다. 

    국내 대기업 중 삼성전자는 모니터, LG 전자는 디스플레이 등의 우수한 기술력을 강조한 제품으로 최고 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AI가 영상의 사물·배경에 따라 화질을 보정하고, 저화질 영상을 알아서 초고화질로 바뀌며. 전원을 끄면 유리처럼 투명한 스크린이 나오게 하는 기술을 손보였습니다. 기술 경쟁력에서 일본 소니, 중국 TCL 등을 저 멀리 따돌렸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CES 2024년 AI 분야의 최고 혁신상 수상작에는 이미지 및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기술을 실생활에 활용하여 안전, 노동력 향상을 제공하는 기업이 주목을 받았습니다. 여기서 한국기업 STUDIO LAB은 비전 AI 기반의 온라인몰 콘텐츠 자동 생산기술로 최고 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또한, CES 2024에서는 확장현실(XR)상 활용될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가 공개된 가운데 국내 스타트업 Flow Studio는 비대면 과학실험 보고서 작성 플랫폼 'Grafting'으로 'Web 3.0&Metaverse' 부문 최고 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AI, 블록체인 등을 비롯한 첨단 기술을 접목한 국내 스타트업 로드시스템의 모바일 여권 플랫폼 'Trip.PASS'와 지크립토의 'zKVoting' 또한 CES 2024 최고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지속가능성·에코디자인·스마트 에너지, 접근가능성(장애인 접근성 포함)·고령화 기술, 모바일 디바이스 등 분야에 속한 최고혁신상 수상작을 ESG로 분규 합니다. 국내 스타트업 Mand.ro(만드로)의 로봇 손가락 의수, 국내 스타트업 Onecom(원콤)의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커뮤니케이터가 ESG 분야 최고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CES 2024에서 3건의 푸드테크 제품이 최고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그중 2건이 한국 제품인데요. 국내 스타트업 Midbar(미드바르)의 공기주입식 에어로포닉스(Aeroponics) 스마트팜 AirFarm, 국내 스타트업 Top Table(탑테이블)의 4D 푸드 프린팅 시스템 IINK(잉크)가 최고 혁신상을 수상 했습니다. 

     

     

    국내 기업인 10 minds는 코골이 완화를 돕는 특수설계 베개인 Motionsleep을 출시하여 스마트홈 무문 최고혁신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또한 삼성 자회사 Harman의 'JBL Authentics 500'은 높은 성능과 사용자 맞춤형 편의 증진 등으로 최고 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미래 테크 산업의 발전 방향

     

    💙 공기 같은 AI 시대가 열린다 : 챗 GPT 등 생성형 AI의 본격 확산 이후 처음으로 개최된 CES 2024는 생성형 AI, 온디바이스 AI 등 AI 가 전면에 부각되었는데요. AI 활용 실생활 제품 등 인간의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에 적용한 제품들이 눈에 띄었습니다. AI를 산업 현장과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접목해 일상 속 어디든지 있는 '공기 같은 AI'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  모빌리티와 첨단 기술의 하이브리드 고도화 : CES 참가 기업 중 자동차 관련 기업이 4곳 중 1곳에 육박하는 등 CES 가 '글로벌 오토쇼'로서 명실공히 자리매김한 가운데 최첨단 모빌리티 기술이 지속적으로 공개 됐습니다. 빅테크 기업들이 참여하여 자동차 산업 밸류체인으로 외연을 확장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완성차 기업과 자동차 관련 기업들, 빅테크 간의 경쟁이 가속화되는 동시에 협업 모델이 고도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ESG·디지털 헬스케어 확산 : 넷제로 실현을 위한 그린테크 부상과 더불어 다양한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인에이블러(Enabler)로서의 기술 역할이 부상하였습니다. AI와 같은 혁신 기술의 윤리적 활용에 대한 방향성이 지속적으로 고민되며, 혁신 기술 활용 기준 및 방침이 폭넓게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고령화 사회 속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AI를 활용한 맞춤형 의료, 수요자 중심, 예방 중심, 홈케어 등의 키워드가 지속적으로 주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넷제로 :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과 제거하는 이산화탄소량을 더했을 때 순 배출량이 0 이 되는 것. 배출원이 배출한 만큼을 흡수원이 다시 흡수하도록해 실질적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것을 뜻합니다. `탄소중립 (carbon neutralization)'이라고도 합니다. 

     


     

    이렇게 CES 2024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AI, 로보틱스, 디지털 헬스, 지속가능성, Web 3.0을 비롯해 미래 항공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의 첨단 기술을 손보였는데요. 

     

    그중 AI 기술이 모빌리티, 인프라, 지속가능성, 스마트홈 등 모든 산업영역에서 혁신을 불러일으켜 먼 미래의 이야기로만 느껴졌던 AI와 로봇, 그리고 미래차 기술이 어느새 우리 가까이 와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포스팅도 알찬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