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⑧ (Feat. 투자전략(자산배분전략))경제상식 2023. 11. 8. 15:51반응형
안녕하세요 ~ 잭콩트리입니다 ~
오늘은 ETF를 재테크 수단으로 활용할 때 어떤 방법으로 ETF를 활용하면 좋은지
투자 전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산 배분 전략
⑴ 핵심/위성 전략
⑵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간 배분전략
⑶ 국가별 배분전략
1. 자산배분전략
⑴ 핵심/위성(Core-Satellite)전략
자산 배분전략에서 가장 대표적인 투자 전략으로는 핵심/위성 전략이 있다. 시장 수익률 대비 초과 수익을 얻기 위한 전략이다.
ETF 중에서도 상품의 성격을 자세히 살펴보면 코스피 50/100/200 KRX 100 ETF와 같이 사실상 우리나라 주식시장 전체의 흐름을 나타내주는 시장대표 성격의 ETF가 있는데. 이러한 ETF들이 핵심/위성 전략에서 핵심에 속하는 ETF이며 이들 ETF를 제외한 대부분의 ETF가 위성에 해당한다.
주식투자를 할 때, 누구나 최소한 시장 수익률 이상의 수익을 얻기를 희망한다. 가장 안전하게 시장 수익률을 얻는 방법은 시장대표 ETF, 즉 코스피 200, S&P 500 ETF와 같은 ETF에 투자하는 것이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시장 수익률을 초과하는 수익을 기대하는 투자자라면 핵심/위성 전략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증권시장 전체의 수익률을 따라가는 시장대표 ETF(핵심)에 주로 투자하고 나머지를 시장보다 더 오를 것으로 판단되는 다른 종류의 금융투자상품(위성)에 투자하여 시장 대비 초과수익을 얻을 수 있다.
위성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금융투자상품으로 개별 주식이나 액티브펀드, 시장대표 이외의 ETF 등이 있다. 개별 주식에 대한 투자는 기대 수익이 높은 만큼, 투자위험도 크기 때문에 자칫 큰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주식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는 시장의 방향성을 판단해야 하는 시장위험과 선택한 종목에서 발생하는 개별종목위험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반면, ETF는 최소한 어떤 종목이 오르고 어떤 종목이 내릴 것이나 하는 개별종목위험으로부터는 자유롭고 다만 시장이 오를지 내릴지, 특정 업종 또는 국가가 호황일지 불황일지 하는 시장의 방향성, 즉 시장위험만 고려하면 된다. 따라서, 시장 대비 초과 수익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역시 또 다른 ETF를 활용하는 것이 투자위험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ETF 중에서 이러한 초과수익에 대한 투자자의 기대를 충족하기 위해 ETF내에 그러한 전략을 구사함으로써 그 종목에만 투자하는 것으로 핵심/위성 전략에서 추구하는 초과수익을 기대할 수 있도록 설계된 ETF들이 있다. 예를 들면 커버드콜 ETF나 로우볼 ETF 등이 그렇다. 이들 ETF는 코스피 200이라는 시장 수익률 대비 일정 조건하에서 역사적으로 초과수익을 얻었던 전략을 고안하여 다른 기초자산을 혼합(커버드콜 ETF의 경우에는 콜옵션)하거나 종목을 선택하는 규칙을 달리하는 방식(로우볼 ETF는 시장 대비 주가 변동성이 낮고 안정적인 종목들로 구성)으로 초과 수익을 기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ENHANCED ETF라고도 하는데, 기본 적으로 기초지수 자체를 그러한 ENHANCED 전략이 반영된 상태로 만들어서 운용한다.
핵심과 위성 배분 비율은 딱히 정해져 있지는 않다. 본인의 투자판단과 투자스타일에 맞게 배분비율을 결정하면 되는데 안정적 또는 보수적 투자자라면 핵심의 비율을 높여서 7:3 또는 8:2 등의 비율로 할 수 있고, 반대로 공격적 투자자라면 5:5 또는 4:6 등으로 위성의 비율을 높여가면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ETF 중에서 섹터 ETF나 테마형 ETF들은 개별 주식 못지않게 변동성이 높은 종목이면서도 개별주식 선택의 위험은 없으므로 위성전략을 달성하는데 효과적인 투자수단이다.
※ 콜옵션 : 콜옵션(call option)이란 거래당사자들이 미리 정한 가격(행사가격, strike price)으로 장래의 특정 시점 또는 그 이전에 일정자산(기초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계약이다. 거래대상이 되는 자산은 특정주식, 주가지수, 통화, 금리 등 매우 다양하다.
⑵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간 배분전략
ETF 중에서도 상대적인 위험 수준이 달라 ETF를 가지고도 다시 고위험 ETF와 투자금 손실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은 저위험 ETF에 적절히 배분하여 투자를 할 수 있다. 수입과 지출의 규모가 서로 다른 연령대별로 배분비율을 달리 하는 방법과 시장상황에 따라 적극적으로 배분비율을 조절해 나가는 방법이다.
사회생활을 막 시작하면서 긴 경제활동 기간의 첫 발걸음을 내딛는 20~30대, 소득과 자산이 늘면서 동시에 자녀양육 등으로 소비도 급격히 늘어가는 40대, 퇴직이 가까이 오면서 노후를 준비해야 하고 상대적으로 안정을 추구해야 하는 50대까지 연령별로 잔존 경제활동 기간과 수입·지출의 균형을 고려하여 투자대상 자산을 조절해야 한다.
20~30대의 경우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출의 규모를 조정하기 쉽고 긴 경제활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채권보다는 주식의 투자 부중을 높이는 공격적인 스타일로 주식형 ETF와 채권 ETF를 7:3 또는 주식형 ETF의 비중을 그 이상으로 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다. 이후 고정 지출의 규모가 커지는 40대로 접어들면서는 수익과 위험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므로 주식의 비중을 줄이고 두 자산 간 투자 비중에 균형을 맞추는 포트폴리오 구성이 적합하다. 은퇴시기가 도래하는 50대는 그동안 축척해 온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현금 흐름의 안정성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시기이므로 투자 손실을 최소화하는데 초점을 두어 20~30대와 정반대로 안전자산인 채권형 ETF의 비중을 70% 이상 끌어올리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미 시장에는 라이프 사이클에 맞춰 도 주식과 채권 비중을 6:4로 고정하여 투자하는 상품도 상장되어 있다. 물론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많은 주식형 ETF 중에서 본인이 희망하는 ETF와 다수의 채권 ETF 중 적절한 상품을 직접 골라 본인의 연령과 투자 성향에 따라 적절히 배분하여 투자하는 것도 훌륭한 자산배분 전략이다.
한편 좀 더 적극적인 투자 방법의 하나로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수시로 두 상품 간 비중을 조절해 가는 투자 전략도 인기가 있다. 이는 시황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기 때문에 개인 투자자가 직접 수행하기보다는 증권회사들이 ETF투자하는 랩상품을 통해 이러한 전략을 적극적으로 구사흐는 경우가 많다. ETF가 간접투자의 성격을 갖는데, 증권회사의 랩상품을 통해 다시 간접투자함으로써 투자비용은 이중으로 발생하지만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장에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⑶ 국가별 배분전략
ETF는 해외에서 거래되는 주식을 국내 주식처럼 투자할 수 있는 점이 장점이다. 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려면 개별 종목에 대한 정보 습득, 시차 등에 있어서 많은 불편함이 있지만, 해외 ETF에 있어서는 ETF운용사와 호가를 제출하는 유동성공급자가 이러한 불편함을 대신 제거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투자의 편리성이 높다.
현재 국내 ETF 시장에는 다양한 해외주식 ETF가 상장되어 있다. 중국, 일본, 홍콩 등 아시아 지역 ETF, S&P 500, 나스닥 100, 브라질 라틴 등 북미와 남미지역 ETF, 브라질/중국/인도/러시아를 일컫는 브릭스 ETF 등이 있다. 전 세계 주식시장이 동조화 현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이 있고, 국가별로 불황과 화황이 달리 나타나기도 한다. 국가별 경제상황에 따라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등 투자 국가을 달리하여 투자를 하거나 핵심/위성 전략을 활용하여 핵심으로 국내 주식형 ETF를 활용하고 위성으로는 투자 유망 국가의 ETF를 선택하여 적절히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도 좋은 국가별 배분전략이다.
이렇게 ETF 투자전략 중 자산배분전략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현재 S&P 500과 나스닥 100을 들고 있는데요 이외에도
위성으로 들고 있을 만한 액티브형 ETF 도 한번 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다들 어떤 종목을 들고 있는지 어떤 식으로 배분하고 있는지 궁금해지는 포스팅이었습니다.
다음 글은 투자전략관련 하여 장단기 투자 전략, 섹터로테이션 전략에 대해 다뤄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 ^^
이만 잭콩 트리였습니다.
ETF 다른 글이 궁금하시다면 ~ ?
https://ssukssukupup.tistory.com/8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① (Feat. NAV 와 iNAV, 시장구조)
안녕하세요 잭콩트리입니다 ~ 오늘은 ETF의 정의부터 기초 개념까지 정리하여 들고 왔습니다. 전 항상 월급을 받으면 투자는 절대 안 하고 적금이나 예금을 들곤 했는데요 ~ 요즘은 돈의 가치가
ssukssukupup.tistory.com
https://ssukssukupup.tistory.com/9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② (Feat. 가격괴리, 추적오차, 환노출·환헤지)
안녕하세요 ~ 잭콩트리입니다 ~ 오늘은 ETF 개념 정리 제2탄! 가격괴리, 추적오차, 환노출·환헤지 그리고 합성 H에 대해서 글을 작성하고자 합니다 ~ (1 탄을 읽어야 내용 이해가 잘 될거 같아서 시
ssukssukupup.tistory.com
https://ssukssukupup.tistory.com/10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③ (Feat. LP 유동성 공급자)
안녕하세요 ~ 잭콩트리입니다. ETF 개념 총 정리 제3탄! ETF 시장에서 마켓 메이커라고 불리는 (유동성 공급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1. LP(유동성 공급자)란? 2. iNAV 가 고정임에도 LP 호가가
ssukssukupup.tistory.com
https://ssukssukupup.tistory.com/11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④ (Feat. ETF 분배금)
안녕하세요 ~ 잭콩트리입니다 ~ ETF에도 주식 배당금 처럼 '분배금'이라는 제도가 있는 걸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ETF 개념 총 정리 제 4탄 분배금의 주요 개념과 분배금이 발생하는 이유 그리고 분
ssukssukupup.tistory.com
https://ssukssukupup.tistory.com/12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⑤ (Feat. ETF 투자위험요인)
안녕하세요 잭콩트리입니다 ~ ETF가 아무리 좋은 상품이라고 해도 다른 금융투자상품과 마찬가지로 투자 위험이 존재하는데요 ~ 위험요인을 6가지로 나누어 설명해보고자 하는데 오늘은 기초자
ssukssukupup.tistory.com
https://ssukssukupup.tistory.com/13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⑥ (Feat. ETF 투자위험요인 2탄)
안녕하세요 ~ 잭콩트리 입니다. 오늘은 ETF 투자위험요인 제 2탄으로 들고 왔습니다. 오늘은 신용위험, 환율 변동위험, 잦은 매매로 인한 위탁 수수료 위험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ssukssukupup.tistory.com
https://ssukssukupup.tistory.com/14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⑦ (Feat. 기초지수, 세금)
안녕하세요 ~ 잭콩트리입니다 ~ 어느덧 ETF 개념정리 7회 차가 되었네요 시간이 참 빠릅니다 ! 오늘은 ETF 개념정리를 하면서 자주 등장했던 기초지수에 대해서 알아보고, ETF 세금의 종류와 세율에
ssukssukupup.tistory.com
반응형'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⑪ (Feat. 시장대표,섹터,스타일,해외지수 ETF 총정리 !) (2) 2023.11.09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⑨ (Feat. 장단기 투자, 섹터로테이션 전략) (3) 2023.11.09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⑦ (Feat. 기초지수, 세금) (7) 2023.11.07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⑥ (Feat. ETF 투자위험요인 2탄) (0) 2023.11.07 재테크 꿀 팁 / ETF 개념 총 정리 ! ⑤ (Feat. ETF 투자위험요인) (4) 2023.11.03